git 3

Git | git checkout origin/branch vs branch

ㅎㅎ 네이버 인턴하면서, git origin/branch와 branch를 잘못 사용해서 시간을 날린 적이 있는데, 다시 이런 바보같은 짓을 하지 않으려고 기록하는 글이다.. git checkout origin/branch remote branch의 copy 버전으로 tracking branch라고 한다. git checkout origin/branch2 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원격 저장소의 origin/branch2를 tracking 하는 local branch를 생성한다. remote branch의 local copy를 최신으로 유지하려고 할 때 사용한다. git checkout branch local branch로 이동한다. 인턴하는 동안 nsml이라는 네이버 자체의 자원 할당 서비스를 쓰는데 이 때..

🍑 잡지식 2023.01.15

Git | git stash 명령어 (임시저장 하기)

branch 바꾸고 싶은데, commit 하기엔 완성된 코드가 아니라 찝찝할 때 사용하면 좋은 명령어 git stash에 대해 알아보자. 1. git stash 명령어로 임시저장하기 git stash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코드가 임시로 저장된다! 다른 브랜치로 이동해서 작업 후 원래의 브랜치로 돌아오면, git stash 명령어를 입력하기 전, 즉 가장 최근 commit 상태로 돌아온다. 헉 내가 짠 코드들 다 사라졌나???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,,,! 2. git stash list 명령어로 저장 stash 목록 확인하기 git stash list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, 저장한 stash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! 3. git stash apply 명령어로 저장된 stash 불러오기 git ..

🍑 잡지식 2023.01.08

Git | git add, git commit, git push 취소하기

1. git add 취소하기 실수로 파일을 잘못 올렸을 때 아래 명령어를 통해 git add를 취소할 수 있다. git reset HEAD [file name] 특정 파일이 아니라 전체 파일에 대해서 git add를 취소하고 싶다면 file name 없이 git reset HEAD를 해준다. 모든 파일에 대해서 git add를 취소할 수 있다. 2. git commit 취소하기 commit message를 변경하고 싶을 때 혹은 더 변경사항이 있는데 실수로 일찍 commit 했을 때 등 git commit을 취소 하고 싶으면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. git reset --soft HEAD^ # 가장 최근 commit 하나 취소 git reset HEAD~2 # 가장 최근 2개의 commit 취소 g..

🍑 잡지식 2023.01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