🍑 잡지식

Git | git stash 명령어 (임시저장 하기)

노바깅 2023. 1. 8. 00:22

branch 바꾸고 싶은데, commit 하기엔 완성된 코드가 아니라 찝찝할 때 사용하면 좋은 명령어 git stash에 대해 알아보자.

 

1. git stash 명령어로 임시저장하기

git stash

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코드가 임시로 저장된다!

다른 브랜치로 이동해서 작업 후 원래의 브랜치로 돌아오면, git stash 명령어를 입력하기 전, 즉 가장 최근 commit 상태로 돌아온다. 헉 내가 짠 코드들 다 사라졌나???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,,,!

 

2. git stash list 명령어로 저장 stash 목록 확인하기

git stash list

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, 저장한 stash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!

 

3. git stash apply 명령어로 저장된 stash 불러오기

git stash apply
git stash apply [stash_name]

apply를 추가해서 저장된 상태를 가져오면 된다!
이 때, --index 인자가 없으면 staged 상태가 아니라 staged 상태로 부르고 싶다면 (즉, git add 명령어를 실행한 상태) --index를 추가해주자!

 

 

나는 개인적으로 아래 2가지 조합으로 활용한다.

git stash
git stash apply --index