ㅎㅎ 네이버 인턴하면서, git origin/branch와 branch를 잘못 사용해서 시간을 날린 적이 있는데, 다시 이런 바보같은 짓을 하지 않으려고 기록하는 글이다..
git checkout origin/branch
remote branch의 copy 버전으로 tracking branch라고 한다. git checkout origin/branch2
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원격 저장소의 origin/branch2
를 tracking 하는 local branch를 생성한다. remote branch의 local copy를 최신으로 유지하려고 할 때 사용한다.
git checkout branch
local branch로 이동한다.
인턴하는 동안 nsml이라는 네이버 자체의 자원 할당 서비스를 쓰는데 이 때 git 명령어로 코드를 최신으로 동기화해줘야 한다. 그런데 명령어를 실수로 git checkout origin/branch
후, git pull --all
을 했더니 동기화가 안 돼서 실험이 fail로 돌아가서 시간을 날렸었는데 git checkout branch
후 git pull origin branch
으로 하니까 동기화가 됐었다. 그래서 git checkout origin/branch
와 git checkout branch
의 차이를 좀 제대로 기억하려고 기록하기로 했다ㅎㅎ..
참고 자료
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35145400/git-checkout-my-branch-vs-git-checkout-origin-my-branch